Fetching Movies from API
import React from "react";
import axios from "axios";
class App extends React.Component {
state = {
isLoading: true,
movies: [],
};
getMovies = async () => {
const movies = await axios.get("https://y...
Class Components and State
//src/App.js
import React from "react";
import PropTypes from "prop-types";
class App extends React.Component {
state = {
count: 0,
};
add = () => {
console.log("add");
};
minus = () => {
c...
Creating your first React Component
//src/App.js
import React from "react";
import Potato from "./Potato";
function App() {
return (
<div>
<h1>Hello</h1>
<Potato />
</div>
);
}
//src/Potat...
React란?
리액트는 페이스북에서 제공해주는 프론트엔드 라이브러리이다.
또한 리액트는 컴포넌트 기반으로 되어있어서 컴포넌트에 데이터를 내려주면 개발자가 설계한대로 UI가 만들어져 사용자에게 보여진다.
React를 사용하는 이유
사실 리액트를 사용하지 않아도 얼마든지 웹 페이지를 html, css를 이용해 만들 수 있다.
그러나 html과 css등으로만 만들어진 웹페이지는 동적인 데이터를 UI에 뿌려주기에는 적합...
SQL이란?
관계형 Database 관리 시스템(RDBMS)의 데이터를 관리하기위한 언어
SQL 명령어
DDL: 데이터베이스 or 테이블의 생성/변경/삭제 작업
DML: 데이터의 검색, 삽입, 변경,삭제 작업 실질적 데이터 처리
DCL: 데이터 접근 권한
TCL: 트랜재견을 다룸
Data Type
VARCHAR(size): 우리가 알고있는 String ...
DataBase 란?
DataBase(DB): 통합하여 관리하는 데이터의 집합체
중복되는 데이터를 없애고 자료를 구조화하여 효율적인 처리가 가능
DBMS(Database Management System)
->데이터베이스 관리하는 미들웨어 서버
관계형 데이터베이스 VS 비관계형 데이터베이스
->설계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기준
(Relational DataBase)
Data: 데이터베...
Node.js란?
Node.js는 자바스크립트 엔진 ‘V8’ 위에서 동작하는 이벤트 처리 I/O 프레임워크이다. 서버 환경에서 자바스크립트로 애플리케이션을 작성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.
Node.js 특징
정의: 크롬 V8 자바스크립트 엔진으로 빌드된 자바스크립트 런타임
특징: 이벤트 기반, 논블로킹 I/O 모델을 사용해 가볍고 효율적
이벤트 기반: 이벤트가 발생할 때 미리 지정해둔 작업을 수행하는 방식을 의...
Git 그리고 GitHub 이란?
Git
분산 소스 버전 관리 시스템
서버를 분산시켜 구축할 수 있게 하는 소프트웨어
소스코드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해주는 형상관리도구
GitHub
깃(Git)을 사용하는 프로젝트를 지원하는 웹호스팅 서비스
Git을 업로드 할 수 있는 웹사이트
개발자들의 버전 제어 및 공동 작업을 위한 플랫폼
버전관리란?
소스 하나 또는 묶음을 하나의 버전으로 간주
파...
What is JavaScript?
프로토타입기반의 프로그래밍 언어로, 스크립트 언어에 해당된다. 특수한 목적이 아닌 이상 모든 웹 브라우저에 인터프리터가 내장되어 있다. 오늘날 HTML, CSS와 함께 웹을 구성하는 요소 중 하나다. HTML이 웹 페이지의 기본 구조를 담당하고, CSS가 디자인을 담당한다면 JavaScript는 클라이언트 단에서 웹 페이지가 동작하는 것을 담당한다. 웹 페이지를 자동차에 비유하자면, HTML은 자...
CSS란
Cascading Style Sheets
HTML이 정보를 표현한다면 CSS는 HTML문서를 시작적으로 이쁘게 꾸며주는 역할을 한다.
CSS의 특징
정보를 수정하지 않고 디자인만 변경할 수 있다.
태그마다 style 속성으로 주게 되면 소스코드가 지저분해 지는데, 분리하여 관리하게 되면 유지보수 및 가독성이 좋아진다.
검색엔진이 HTML을 해석 가능하도록 하기...